[이유미의 우리풀 우리나무] 타래붓꽃

사랑을 머금고 선 꽃의 요조숙녀

요즈음 산이나 들에 혹은 길가에서 보랏빛의 꽃송이들이 눈에 잘 들어온다. 비로 붓꽃이다. 한창 짙어가기 시작하는 초록의 풀밭에 보랏빛 꽃들의 조화가 그림처럼 아름답다.

그리고 이 붓꽃보다는 몹시 드물지만 밭둑이나 들판이나 아주 뜻하지 않은 곳에서 만나지는 더욱 은은하고 고운 연보라 빛의 꽃송이들도 있는데 바로 타래붓꽃이다.

흔히 우리나라 야생화들은 소박할 뿐 화려하지 않다고 한다. 흔히 우리나라 야생화들은고향의 꽃이어서 친근하지만 그래도 아름다움에선 서양 꽃을 당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기도 하나. 더욱이 자잘한 꽃들이 많아 우리 꽃을 가지고 상품화 하기에는 부족함이 많다고 한다.

하지만 붓꽃 또는 타래붓꽃은 이러한 선입견을 여지없이 무너뜨릴만큼 큼직하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낸다. 사실 꽃시장에서 판매되는 꽃이나 화단에 심겨 놓은 여러 원예종 붓꽃류(Iris)들은 대부분 일본이나 독일이 국적인 꽃들이다.

이 땅에도 개량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면서 그 아름다움이 외국 국적의 꽃에 뒤쳐지지 않는 아름답고 탐스러운 우리 씨앗들도 잘 자라고 있다.

붓꽃은 그 함초롬한 꽃봉오리가 마치 먹물을 머금은 붓과 같다 하여 붙여진 우리의 이름이다. 타래 붓꽃은 여기에 줄기가 실타래처럼 꼬여 자라므로 그런 이름이 붙었다. 일반적으로 붓꽃류의 식물을 두고 창포나 아이리스(Iris)라고부르기도 하는데 사실 단오날 머리감는 창포와 붓꽃류는 전혀 다른 식물이며 아이리스란 서양이름은 세계가 함께 부르는 붓꽃류를 총칭하는 속명이니 그리 부른다고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아이리스는 알아도 붓꽃이나 타래붓꽃이라는 우리 이름은모르고 있으니 이는 문제가 아닐까?

서양이름 아이리스는 무지개란 뜻이다. 이꽃의 꽃말은 비 내린 뒤에 보는 무지개처럼 '기쁜 소식'이다. 동시에 프랑스의 나라꽃이기도 하다. 여신 주노의 예의가 바른 시녀 아이리스는 쥬피터가 집요하게 사랑을 요구하자 자신의 주인을 배반할 수 없어 무지개로 변하여 주노에 대한 신의를 지켰다는 전설을 가진 그 이유 때문인지 이 꽃은 여름을 재촉하는 비가 촉촉하게 내리거나 혹은 이른 아침 이슬을 머금고 싱싱하게 피어 오를 때 가장 아름답다.

붓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인 타래붓꽃은 땅속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자라면서 커다란 포기가 점점 둥글게 만들어진다. 봄이면 삐쭉하게 돋아나온 잎새는 어느새 난초잎을 닮은 시원한 모습으로 자라고 여름처럼 느껴지는 늦은 봄(5∼6월)이면 그틈에서 꽃대가 나와 붓골 같은 꽃송이를 두세 개씩 매어 달더니 어느새 주먹만한 꽃송이가 환하게 피어난다.

꽃잎은 모두 여섯 장이다. 하지만 이 가운데 바깥의 3장이 진짜 꽃잎이고 꽃잎 가운데 세 장은 암술이 변하여 꽃잎처럼 되었으니 더욱 신기하다.

꽃밭에 심어도, 꽃꽂이를 하여도, 화분에 담아 키워도 강건하고 아름다운 타래붓꽃. 한 송이를 들여다 보아도, 큰 무리를 만나도 언제나 아름답다. 타래붓꽃은 뿌리를 말려 쓰는데 피멍을 풀어주고 종기를 낫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지혈작용과 이뇨작용도 할 수 있어 긴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들판에 피고 있는 타래붓꽃을 만나고 나면 우리들은 이렇게 고운데 왜 우리를 알아주지 않느냐는 타래붓꽃의 아우성이 들리는 듯 싶다.

이유미 국립수목원 연구사

입력시간 2002/06/06 19:11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