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 in the Kitchen] (2)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와 커피<런웨이> 편집장 미란다의 정체성 담긴 스타벅스 커피

"왜 커피가 21세기 음료가 된 줄 알아요? 와인은 마시면 잠이 오는데, 커피는 마시면 잠이 깬다는 거죠!"

몇 해 전 한 프랜차이즈 업체 CEO를 인터뷰할 때, 이 CEO가 난데없는 이야기를 꺼냈다. 20세기와 21세기 문화를 대표하는 음료는 와인과 커피인데, 그 이유는 알코올과 카페인이라는 재료 특성에 있다는 것. 고로 이 음료의 정체성은 20세기와 21세기 '시대적 요구'를 드러낸다는 것이다.

일찍이 '경영학'이란 시장 결과에 따른 귀납법적 추론과 '그렇게 믿고 싶은' 자유 의지(경영인들의 그 정체모를 자신감과 '긍정의 힘')에 의존하는 바, 레스토랑에 이어 조만간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계획 중인 CEO의 허무맹랑한 소리라 치부했지만, 집에 와 곰곰이 생각하니 꼭 틀린 말도 아닌 듯 보였다.

고종황제부터 맛보기 시작해 이제 우리민족 생활필수품처럼 된 커피(Coffee). 그 어원은 카페인이다. 이 어원에 커피의 정체성이 담겨있다. 바로 각성효과와 중독성이다.

일본 메이지대학 사이토 다카시 교수는 책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에서 뉴욕, 파리, 런던, 도쿄 등 세계 주요 도시의 스타벅스를 통해 세계사를 훑는다. 그는 스타벅스가 무서울 정도로 승승장구할 수 있었던 것은 '현대인에게 특별하다고 느끼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하며 커피의 각성 효과에 주목한다. 근대가 가진 '잠에서 깨어 있는' 느낌과 궁합이 잘 맞는 음료로 세계를 바꿔놨다는 것이다.

사이토 교수는 커피 문화권에서는 일의 능률을 올리고 싶을 때 커피를 마시는 편인 반면, 차 문화권 사람들은 한숨을 돌리며 쉬고 싶을 때 차를 마시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차 문화권이었던 미국이 18세기 후반 보스턴 차사건 이후 커피 문화권이 됐고, 이 변화가 미국이 세계를 제패하게 된 하나의 보이지 않는 요인이 됐을 수 있다는 추측까지 내놓는다.

물론 커피 이외에도 카페인이 든 음료는 무궁무진하지만, 커피가 카페인의 대표 음료처럼 각인되는 현실에서 이 견해는 설득력 있어 보인다. 누구나 잠을 깨기 위해서는 녹차보다 커피를 찾고, 커피중독자는 심심치 않게 있지만 녹차나 홍차중독자란 말은 들어 본 적도 없으니까.

경쟁사회에 사는 현대인은 늦은 시간까지 노동해야 하고, 마시면 잠 오는 술보다 마실수록 잠이 깨는 커피를 찾게 되는 게 당연한 이치가 아닌가. 그러다 보면 당연히 중독이 될 터, 기실 커피는 21세기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음료다.

하루에도 서너 잔은 입에 달고 살아야하는 커피는 노동에 중독된 현대인의 단면을 드러내는 상징이 아닐까.

미란다와 스타벅스

뻔한 말이지만, 영화는 시대를 반영하고, 그 중에서도 대중영화는 대중의 욕망을 판타지로 그려낸다.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는 글로벌 자본주의 시스템과 그 시스템 속에서 패션 산업이 헤게모니를 장악해가는 과정과 그 산업에서 어떻게 처신해야 생존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물론 영화의 대중적 성공은 이런 정치한 설정이 아니라 앞서 말했듯 대중이 '믿고 싶어하는' 판타지, 주인공 앤드리아 삭스(앤 해서웨이 분)가 처한 그 환상적 업무 환경에 있을 터다.

필요하다면 언제든 옷 방에서 샤넬과 프라다의 최신 원피스를 입을 수 있고(단, 사이즈가 있다면), 발 뒤꿈치가 벗겨질 때까지 지미추 하이힐을 갈아 신을 수 있는 꿈의 직장은 여성은 물론 패션에 관심 많은 10~20대 남성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충분했으니까.

그러나 단언컨대 구치와 프라다 핸드백에 정신이 팔려 '나도 저런 잡지사에 근무했으면'하고 생각했다면, 당신은 결코 <런웨이>의 편집장이 될 수 없다. 영화의 원작 소설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한국판 추천사에 쓰인 말처럼, 한국에는 그런 잡지사가 없을뿐더러, <런웨이> 편집장 미란다와 비서 앤드리아 삭스의 차이는 바로 거기서 시작되니까.

똑같은 원피스에 어떤 허리띠를 채우느냐를 두고 옥신각신하는 편집장을 보며 "제 눈에는 똑같아 보는데요"라고 킥킥거리는 앤드리아에게 미란다는 하이킥을 날린다.

"네가 모르는 사실은, 그 파란색은 그냥 파란색이 아니라는 거야. 그건 파란색 중에서도 터쿼즈(Turquoise)색이 아니라 정확히는 세룰리언(Ceruliean)색이지. 2002년에 오스카 데 라 렌타가 셀룰리언색 이브닝 가운을 발표했고, 다음에 입생로랑이 세룰리언색 군용 재킷을 선보였지. 그러자 세룰리언색은 급속하게 퍼져나가 8명의 다른 컬렉션에서도 등장하기 시작했고, 이후에는 백화점을 거쳐서 네가 옷을 사는 그 끔찍한 캐주얼 코너로 넘어가게 된 거지. 네가 입고 있는 그 파란색은 셀 수 없이 많은 일자리와 수백만 달러의 재화를 창출했어."

미란다는 패션과 경제시장의 메커니즘을 간파하고, 이 메커니즘의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방법 역시 알고 있으며, 당연한 말이지만 그 정도 차별성은 있어야 편집장이 되는 게다. 그러니 앤드리아는 입 다물고 커피 심부름을 할 수 밖에 없다.

출근 첫날부터 긴급비상사태로 새벽부터 불려간 앤드리아는 24시간 울려대는 핸드폰과 미션 임파서블한 편집장의 지시에 시달린다. 이를테면 제 아이에게 보여줄 해리포터 신작을 미리 구해달라는 지시 같은 것 말이다.

수십 개의 비서 임무 중 하나는 아침마다 미란다가 허물처럼 벗어놓은 코트와 핸드백을 정리하는 것과 스타벅스 커피를 대령하는 일이다. 앤드리아는 꼭 편집장의 출근 10분 전 따뜻한 스타벅스 커피를 대령해야 하고, 미란다는 이 커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한다.

영화 속 미란다의 정체성은 데니스 바소의 퍼 코트나 도나카렌의 블랙 드레스가 아니라, 이 커피에 담겨 있다. 사이토 다카시가 스타벅스 성공 요인으로 지적한 '깨어 있는 것 같은 느낌'으로 일상을 기계적으로 반복하는 인간, 노동에 중독된 인간 말이다.

그녀는 엄마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죄책감에 사로잡혀 비서에게 해리포터 신작을 먼저 구해달라고 생떼를 쓰면서도 이 노동을 누구보다 사랑한다. 그 애정이 흘러 넘쳐 숭배에 가깝다. 비서직을 박차려는 앤드리아에게 미란다는 말한다.

"누구나 우리 같은 삶을 꿈꿔."

'절대 그럴 수 없을 것'이란 단정은 자신의 노동과 그 대가로 보장받는 권력에 대한 신념에서 비롯된다. 이 신념은 두 번의 이혼과 이혼을 둘러싼 무수한 가십에도 흔들림이 없다.

패션산업 헤게모니를 만드는 그녀는 자신의 '커리어'로 인해 두 번의 이혼을 겪고, 이혼을 둘러싼 가십성 뉴스로 맘고생을 치르면서도 편집장을 그만 둘 생각 같은 건 결코 하지 못한다. 한번 길들여지면 절대 멈출 수 없는 것, 미란다에게 노동하기와 커피마시기는 동일한 행위다.

책상 위 말라가는 커피

남의 말 할 것도 없다. 지금 당신의 사무실에도 마시다 만 커피'들'이 뒹굴고 있지 않은가. 잠부터 깨고 보자며 출근하며 마신 1회용 인스턴트 커피부터 "이것도 못 사먹냐?"고 사마신 '스타벅스' 커피와 야근 피로를 달래면서 우겨넣은 캔커피까지, 커피는 기호식품을 넘어 21세기 현대 사회의 상징이 됐다. (엣지있는 미란다는 스타벅스만 고집하겠지만, 우리는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게 차이라면 차이겠다.) 이제 우리를 호모커피우스, 호모스타벅스로 명명합니다.



이윤주 기자 misslee@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