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인원은 가수 겸 작곡가, 그리고 음반 기획자로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던 멀티 플레이어 뮤지션이다. 가수보다는 작곡가로 능력을 공증 받았던 그는 데뷔 이후 음악에 대한 열정과 절절함을 통해 자기 성찰과 음악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각고의 시간을 보냈다.

동아리로 음악활동 시작

1970년대 중반 순수 아마추어 노래동아리 '참새를 태운 잠수함'의 동인으로 음악 활동을 시작해 포크 록밴드 '따로 또 같이'를 거친 그의 음악적 뿌리는 포크다. 하지만 발라드, 퓨전 재즈, 뉴 에이지, 드라마, 영화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섭렵한 그의 음악 스펙트럼은 주류와 언더를 넘나들었던 활동 반경만큼이나 다채로웠다. 탁월한 감성의 히트곡들을 통해 1980~90년대 대중과 적극적으로 소통했던 그는 최근 이치헌, 권인화와 함께 프로젝트 남성트리오 '더 칼라스'를 결성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데뷔 초기 순수한 포크 질감의 음악을 지향했던 그는 작가 성향의 포크 뮤지션이라면 절대로 경험하지 못할 인기가수 즉 폭넓은 대중적 인지도를 획득했던 이례적인 뮤지션이다. 1985년 솔로로 독립한 그는 1집의 성공을 통해 주류 음악계에 발라드 포크 계열 싱어송라이터의 존재가치를 각인시켰다. 언더그라운드 가수 출신인 그의 성공 사례는 이후 남성 싱어송라이터들의 증가에 긍정적 토양을 제공했지만 자신에 대한 음악적 평가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 부작용도 함께 불러왔다. 탁월한 창작 능력을 담보한 뮤지션인 그가 왕년의 인기가수로 여겨지며 정당한 음악적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자신의 음악보다 주류 무대에서 성공한 작곡가나 기획자로의 이미지가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1980~90년대 히트 메이커

강인원은 여성적 취향의 감성적 노랫말과 탁월한 멜로디를 담아낸 일련의 히트곡들을 통해 1980~90년대의 히트 메이커로 전성기를 구가했다. 당시 민해경의 '그대 모습은 장미', '그대는 인형처럼 웃고 있지만', '존댓말을 써야 할지 반말을 해야 될 지', '성숙', '사랑은 세상의 반', 그리고 이상은의 '해피 버스데이', '사랑해 사랑해' 등은 모두 그가 작곡한 빅히트 곡들이다. 지금까지 발표한 수많은 그의 히트곡 중 지금도 폭넓은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는 대표작은 당연히 '비오는 날의 수채화'다. 1990년대의 명곡으로 각인된 이 노래에 대한 이야기를 제대로 풀어내려면 그가 제작에 참여한 이상은 1집 제작 때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솔로 가수로 성공적으로 데뷔한 그는 민해경의 전속 작곡가로 명성이 높았다. 발표하는 노래마다 차트 정상에 등극하는 주가를 날렸던 그때 평소 알고 지내던 지인으로부터 1988년 강변가요제에서 경쾌한 댄스곡 '담다디'로 대상을 수상하며 혜성처럼 등장한 이상은의 1집 제작을 제안 받았다. 대중음악계에 발이 넓지 못했던 지인과 함께 제작과 외부 활동 파트를 나눠 수익을 나누기로 구두 약속을 하고 제작에 들어갔다. 이미 작곡가로 명성이 높았던 그는 지구레코드 임정수 사장을 찾아가 흔쾌히 1000만원 제작비를 손쉽게 받아냈다.

강인원은 "특이한 아이가 나왔다고 생각했다. 이상은은 선 머슴 같은 느낌이고 발랄한 댄스 가수인지라 내 음악과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지만 만나보니 착하고 맑은 심성을 가지고 있어 마음에 들었다"고 말한다. 이상은 1집을 통해 탄생한 그의 창작곡들은 여성적 느낌이 강한 애틋한 발라드 곡인 '사랑해 사랑해', '해피 버스데이' 등이었다. 재기발랄한 이상은의 대중적 이미지와는 달리 강인원은 내면에 감추어져 있는 그녀의 여성성을 보여주기 위해 일종의 음악적 실험을 시도했던 것이다. 그렇게 1989년 초에 세상에 나온 이상은의 첫 독집은 100만장 이상이 팔려나가는 대박을 터뜨리는 성과를 올렸다.

영화 주제가 제작 제안

하지만 수익 배분을 약속한 지인이 약속한 음반 수익 배분을 외면하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졌다. 음반은 엄청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강인원에게 돌아온 대가는 노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고사하고 친구까지 잃는 마음이 상처가 전부였다고 한다. 동업을 한 친구의 배신에 좌절한 그는 잠시 세상과 단절하며 두문불출했었다. 그때 곽재용 감독이 영화 '비 오는 날의 수채화' 주제가 제작을 제안해 왔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