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세 남자 환자, 2주일 전부터 시작된 허리통증 및 좌측 하지 방사통으로 필자의 병원을 찾아왔습니다. 시행한 정밀검사결과 요추 5~천추 1번에 파열돼 돌출한 추간판이 좌측 천추 1번신경을 심하게 압박하고 있는 소견이었습니다. 증상이 심해 수술적 치료를 권유했습니다. 하지만 환자 및 보호자의 수술에 대한 심한 거부감이 문제가 됐습니다.

결국 풍선성형술 및 신경차단술 등의 최상위 비수술치료를 시행했습니다. 통증은 더 심해져 결국 처음 내원한지 2주 후 미세현미경하 수술적 치료를 어쩔 수 없이 시행했습니다. 그 결과 좌측 엉치 통증은 호전됐습니다. 그러나 좌측 종아리 감각저하 및 통증이 지속되어 시행한 수술 후 정밀검사상 혈종이 확인됐습니다. 결국 다음날 재수술을 시행, 혈종을 완전히 제거하고 통증은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마미 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은 요추부 수술 부위의 출혈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필연적으로 출혈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그 양이 적어 임상적으로 증상 및 합병증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출혈로 인한 혈종 등이 마미를 압박하게 되면 요통, 양측 좌골 신경통, 안장 및 회음부 감각 저하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환자는 엄밀히 따지면 마미 증후군의 증상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혈종을 제거하지 않았다면 얼마 지나지 않아 마미증후군이 올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었습니다.

요추부 수술 후 발생된 술 후 마미 증후군은 매우 드물지만,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합병증입니다. 그러나 임상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발생률과 적은 증례로 인해 보고된 문헌이 많지 않습니다. 더구나 연구들마다 발생률, 위험 인자 및 치료에 대한 보고가 달라 예방 및 치료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어떤 논문에는 술 후 마미 증후군의 발생률이 0.1%라고 보고하였고 또 다른 논문에서는 0.22%라고 보고되었습니다. 마미 증후군에서 신경학적 증상의 기간과 2차 감압술을 시행하기까지의 시간이 예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는 이전의 많은 문헌들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보고되었지만 여전히 정립된 의견은 없습니다.

한 논문에서는 20명의 마미 증후군 환자를 48시간 내에 감압술을 시행받은 군과 48시간 이후에 감압술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고 비교 분석해보니, 두 군 간의 삶의 질과 비뇨기적 증상의 결과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또 다른 논문은 예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감압술 까지의 시간이 아니라 마미의 압박이 일어나는 속도에 달려 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수술 후 1-2일 이내에 재수술을 해야한다는 것에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합병증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했을 때 언제쯤 마비를 비롯한 마미 증후군 등의 문제들이 나타날지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수술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지체없이 빠른 시일 내에 수술적 치료를 하여 근본적으로 발생할 수도 심각한 후유증의 가능성을 없애버리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달려라병원 조석훈 원장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