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교류 상징에서 군사요충지 복원 가능성도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에 맞서 지난 11일 공단 폐쇄와 군사통제구역 선포를 한 북한이 이 곳에 어떤 군사적인 조치를 취할지 주목된다

개성공단 지역은 본래 군사적 요충지였다. 유사시 개성에서 병력과 장비를 집결해 문산을 거쳐 서울까지 최단시간내 돌파할 수 있는 곳으로 2003년 12월 개성공단 착공 이전 개성과 판문읍 봉동리 지역에는 2군단 소속의 6사단, 64사단, 62포병여단이 배치돼 있었다.

때문에 북한군은 ‘돈’ 때문에 군사요충지인 개성공단을 개발하는 것에 불만이 많았다. 하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강하게 밀어붙이면서 가능했다.

개성공단은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이 1999년 10월 1일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나 공단건설 등을 협의한 게 공단 조성의 시작이지만, 실제 구체화 된 것은 2000년 8월9일 김정일 위원장과 정몽헌 현대 회장이 4차 면담에서 협의를 하면서다.

김정일 위원장이 군부의 반발을 무릅쓰고 현대 측에 개성공단 건설을 허락한 것은 2000년6월 남북정상회담 이전 김대중 정부가 북한에 지원하기로 약속한 대규모 투자를 기대했기 때문이다.

당시 군부는 군사적 요충지를 돈 때문에 남한 기업(현대)에 내준다는 것과 개성공단 지역은 북한군 4군단 6사단 관할임에도 북한의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위원장 김용순)가 수입을 비롯해 대부분을 관장하는데 대해 큰 불만을 가졌다.

김대중ㆍ노무현ㆍ이명박ㆍ박근혜 정부를 거치면서 부침을 거듭하던 개성공단은 최근 북한이 군사적 조치를 취하면서 본래 군사요충지로 돌아가 남북 ‘맞짱’의 최일선이 될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박종진 기자 jjpark@hankooki.com